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억압하는 모든 것에 저항하라

"월 3백만 원은 벌어야 결혼"..하지만 현실은 최저임금 본문

카테고리 없음

"월 3백만 원은 벌어야 결혼"..하지만 현실은 최저임금

정의로운 목격자 2019. 5. 11. 21:40

최저임금 6천원 주는 나라에서 개소리 하고 있네

전국민의 절반이 최저임금을 받거나 그 이하를 받고 있다

지금도 최저임금을 못받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줄 아는가 

한달에 3-4번 쉬면서 하루 12시간씩 식당일 하는 사람은

현재의 최저임금 기준이라면 최저임금+초과근로수당+주휴수당 한달에 350만원 이상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180-250 사이를 받고 있다 

최저임금 이하를 받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꼭 설문 조사를 하면 저런 결과가 나온다

==============================

"월 3백만 원은 벌어야 결혼"..하지만 현실은

임상재 기자 입력 2019.05.11. 

https://tv.kakao.com/v/398331288

"월 3백만 원은 벌어야 결혼"..하지만 현실은

[뉴스데스크] ◀ 앵커 ▶

월급이 얼마나 되야 결혼을 할 수 있을까요?

이삼십대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한 달에 3백만 원 정도는 벌어야 결혼을 할 수 있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하지만 실제 받는 월급 수준은 차이가 컸습니다.

임상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청년층이 결혼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여기는 건 뭘까.

[김지민] "경제적인 게 충족이 돼야지 (결혼이) 성사가 되고…결혼 하려면 목돈이 들어가니깐 주변에서도 그런 부분을 많이 고려하는 거 같더라고요."

[전승호] "3백만 원 이상은 벌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생활비로 나갈 게 많잖아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결혼을 하기 위해 본인이 얼마의 월급을 받는 게 적당한지 2,30대 미혼 남녀에게 물었더니, 남성의 경우, 3백~4백만 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42.2%로 가장 많았습니다.

4백만 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도 18.6%로, 약 60%가 최소 3백만 원 이상은 돼야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53.5%가 2백~3백만 원 사이로 꼽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3백만 원 이상이 32.2%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청년층이 받는 월급은 이와는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지난 2017년, 20대 남성의 평균 월급은 206만원, 여성은 190만원에 불과했습니다.

그나마 이것은 취업을 한 20대의 경우에 해당하고 취업난에 시달리는 청년까지 포함하면 상황은 더욱 열악해집니다.

청년들의 저임금 문제가 늦어지는 결혼 연령과 무관하지 않은 이유입니다.

[이병훈/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가족의 생활을 영위해야 되는데 거기에 최소한의 임금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 결혼에 대한 생각을 미루거나 포기할 수 밖에 없겠죠. 청년들의 저임금 일자리가 그런 문제를 (낳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2세, 여자가 30.4세로 10년 전보다 2년 가량 늦어졌습니다.

MBC뉴스 임상재입니다. (영상편집: 김창규)